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조규봉 [Cho Kyupong]

상세 정보 표
분야 인물별체계관리 > 미술 > 작가 > 조소
9분류 인물
집필자 박계리
출생일1917년 3월 18일
사망일1997년 1월 5일
출생지경기도 인천시 신화수리
정의
조규봉은 월북 조소작가로, 인재육성사업과 기념비미술 제작사업을 이끌었다.
용례/관용구
1949년 9월 평양미술대학 조각학부 교원으로 소환된 다음부터 근 30년 간 후대교육사업을 하였다. 『문학예술대사전(DVD)』, 2006.
내용
1923년부터 1936년까지 인천 공립보통학교, 경성시 경신중학교에 다녔다. 1936년 일본 도쿄에 건너가 1937년 동경미술학교 조각과에 입학, 1941년 졸업하였다. 이후 1944년까지 조선미술전람회에서 인물상 소조를 출품하여 입선과 특선을 수상하였다. 졸업 후 1944년 5월 중국 동북 장춘시, 서울에서 작품 활동을 하던 중 해방을 맞이하였다. 해방 직후 서울에서 김경승, 윤효중 등과 조선조각가협회 조직에 참여하였다. 1946년 이후 조선미술건설본부에서 활동하였다. 고희동이 조직한 조선미술협회에 가입하였다가 탈퇴한 후 조형예술동맹을 조직하고 8.15 해방 경축 조선미술전람회를 개최하였다. 1946년 강원도의 해방탑 건설을 계기로 월북하였다. 이후 평양에서 북조선미술가동맹의 조각분과위원장으로 활동하였다. 1949년 9월 평양미술대학의 조각학부 교수로 40여 년간 가르치면서 실질적으로 북한의 조각계를 이끄는 조소작가들을 육성해왔다. 1977년 9월부터 1992년 5월까지 사리원예술대학에서 조각, 미술사, 인체조형해부학 등을 가르치고 『조각기초』등의 이론서를 집필하였다. 처 구영림은 평양미술대학을 졸업하고 조선화를 그렸으며, 딸 조윤미, 아들 조윤석도 평양미술대학을 졸업하였다.
조규봉의 초기 작품 경향이 초상조각들 위주로 인간의 아름다움을 표현하는데 치중되었다면, 대학 졸업 이후에는 사회주의적 사실주의 조각을 창작하기 시작한다. 1948년 ‘8.15 해방 3주년 경축 국가미술전람회’에서 조각 <로동자>로 입상하였다. 월북 이후에는 김일성 우상화 사업의 일환으로 동상을 비롯한 주체주의 작품을 많이 제작하였다. 1949년 10월 김일성 동상 건립, 6.25 전쟁 시기에 김일성의 초상 조각을 제작하여 보급하는 사업을 맡았다. 이외에도 1956년 문학예술상 1등 수상작 <항일빨찌산영웅들>을 비롯해, <수확의 기쁨>(1955), <젊은 조각가의 초상>(1957) 등을 제작하였다. 조규봉의 전반기 작품은 형상의 묘사를 통해 인물의 심리와 성격을 표현하며 집약적인 세부 표현이 특징적이다. 국가미술전람회 2등 수상작 <남녘땅의 어머니>(1959년)는 허기진 아이를 가슴에 안은 어머니의 모성을 전달하는 작품이다. 가녀린 아이의 가냘픈 어깨와 대조되는 야윈 아이의 어깨부터 등까지 감싸 안은 어머니의 굵은 손을 통해 주제를 함축적으로 전달하였고, <항일빨찌산영웅들>에서는 안정적인 구도 속에서 극적인 자세를 표현하였다. 조규봉은 이후 1960~1970년대에 기념비미술 사업이 시대적 과제로 제시됨에 따라 창작가로서 뿐만 아니라 창작을 지도하는 지도성원으로도 많은 사업에 참가하였다. <천리마동상>(1961)의 창작, <보천보전투승리기념탑>(1967)의 초안 설계, <만수대대기념비>(1972), <왕재산대기념비>(1975) 등의 제작 사업에 참여하였다. 조규봉은 기념비미술 사업의 성과로 70세가 넘을 때까지 강의를 계속 하면서 『나무조각기초』 등 교육을 위한 참고 도서들을 집필하였고, 석고상 교재의 창작을 통해 실기교육에 기여하였다.
1961년 주체적 미술교육사업의 공로로 부교수 학직을 수여받았다.
조규봉은 조각을 통해 대상의 심리 상태를 표현해내었으며 터치를 통한 촉감적 표현과 부분을 선택하여 중점적으로 묘사하는 특징을 지닌 작가이다. 조규봉은 북한 미술계에서 김정수와 함께 조소작가들을 육성하는데도 큰 기여를 하였다고 평가받는다.
관련어 평양미술대학, 기념비미술, 기념비조각, 대기념비, 국가미술전람회
관련연구(남) 박계리, 「박계리의 스케치北 (35), 조규봉, 피 끓는 모성의 절절함 빚다」, 『통일한국』, 371호, 2014.
관련자료(북) 리재현, 『조선력대미술가편람』, 평양: 문학예술종합출판사, 1999.
백과사전출판사 편, 『광명백과사전 6 : 문학예술』, 평양: 백과사전출판사, 2008.
사회과학원 편, 『문학예술대사전(DVD)』, 평양: 사회과학원, 2006.
참고자료 리재현, 『조선력대미술가편람』평양: 문학예술종합출판사, 1999.
백과사전출판사 편, 『광명백과사전 6 : 문학예술』, 평양: 백과사전출판사, 2008.
정신문화연구원 편, 『민족문화대백과사전』, 성남: 정신문화연구원, 1992.

이미지

조규봉

이미지명 : 조규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