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연구(남) |
김낙현, 「조기천 시 연구」,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2010. 김낙현, 「조기천 시의 기반과 세계」, 『어문연구』, 152호, 2011. 고현철, 「조기천 『백두산』 연구의 선결문제」, 『한국문학논총』, 39집, 2005. 고현철, 「북한 정치사와의 상관성으로 살펴본 조기천의 1955년판 『백두산』」, 『국제어문』, 35집, 2005. 전영선, 「조기천」, 『북한』, 통권339호, 2003. |
관련자료(북) |
정상진, 「시인과 현실: 조기천씨의 창작을 평함」, 『문학예술』, 1949. 리정구, 「시인 조기천의 창작의 특징과 의의」, 『문학예술』, 제5권 제7호, 1952. 리정구, 「시인 조기천의 문학적 활동과 애국주의 사상」, 『문학예술』, 11호, 1952. 리정구, 『시인 조기천론』, 평양: 문예총출판사, 1953. 김조규, 「서사시 백두산과 더불어 길이 전할 이야기」, 『은혜로운 품속에서 5』, 문예출판사, 1982. 김창만, 「북조선문단의 새로운 수확: 조기천작 장편서사시 백두산을 평함」, 『모든 것은 조국건설에』, 평양:조선로동당출판사, 1947. 한효, 「조기천의 창작에 있어서의 당성」, 『조선문학』, 7호, 1953. |
참고자료 |
김낙현, 「조기천 시 연구」,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2010. 김낙현, 「조기천 시의 기반과 세계」, 『어문연구』, 152호, 2011. 고려인 공동작품집, 『시월의 해빛』, 카자흐스탄 알마아따: 작가 출판사, 1970. 정상진, 「도강(渡江)-잊을 수 없는 순간들」, 『통일문학』, 서울:통일문학사, 2002. 정상진, 『아무르 만에서 부르는 백조의 노래』, 서울: 지식산업사, 2005. 사회과학원 주체문학연구소 편, 『문학예술사전 중』, 평양: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91. 양원식, 「중앙아시아, 카자흐스탄 고려인문학이 걸어온 길」, 『한국문학평론』, 29호, 2004. 리정구, 「시인 조기천의 문학적 활동과 애국주의 사상」, 『문학예술』, 11호, 1952. 리정구, 『시인 조기천론』, 평양: 문예총출판사, 1953. 『중앙일보』, 『비록(秘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상, 하)』, 1992. 송파, 자유의 땅을 노래한 시인(조기천의 출생 70주년에 즈음하여), 『레닌기치』, 1983년 11월 16일. 채영, 「조선의 탁월한 시인 조기천 탄생 50주년: 조선 극장과 조기천」, 『레닌기치』, 1963년 11월 16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