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사전소개
사업자 소개
집필자 소개
연구진 소개
게시판
공지사항
자료실
기타
검색안내
저작권정책
키워드 검색 검색영역 시작
검색어
상세검색버튼
상세검색영역 시작
키워드검색
용어
AND
OR
시기
AND
OR
내용
AND
OR
9분류
전체
개념
시설
인물
작품
조직
행사
매체
문건
기타
취소
동의어검색
검색어
※ 용어에 대응하는 관련어, 동의어, 대응어를 체계적으로 표시하여 서로간의 관계 확인이 가능합니다.
취소
디렉토리 검색
가나다 색인
검색 결과 영역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락동강 할아버지 [Old Man on the Raktong River]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미술 > 회화 > 조선화
9분류
작품
집필자
박계리
시기
1966년
제작자
리창
정의
<락동강 할아버지>는 리창이 1966년 제작한 조선화 작품이다. 여백을 이용한 공간감의 구성, 몰골법의 효과적 사용, 인물들의 섬세한 심리 묘사로 사건의 극적상황과 긴장된 분위기를 예술적으로 형상화하였다.
용례/관용구
위험을 무릅쓰고 인민군대를 도와나선 락동강할아버지와 원쑤에 대한 불타는 증오심과 높은 경각성을 가지고 전투임무를 수행하고있는 인민군병사들의 생동한 형상을 통하여 인민군대와 인민이 한덩어리가 되여 원쑤들과 용감히 싸운 감격적인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다. 『문학예술대사전(DVD)』, 2006.
내용
6.25 전쟁 시기 인민군을 돕는 낙동강의 뱃사공 할아버지를 주제로 한 작품이다. 평범한 이야기를 통해 진실성 있는 영웅의 면모를 그리고자 하였다.
리창의 <락동강 할아버지>는 많은 습작을 통해 완성된 작품이다. 화가는 인물들의 영웅적 성격을 부각시킬 수 있는 전형적 계기의 설정을 고민하고 주인공을 전형화시키기 위한 현실 속의 대상을 거듭 탐구하였다고 한다. 작품을 바라보는 관람자의 시선은 노를 젓고 있는 할아버지의 눈빛, 팔 근육 묘사에 집중된다. 이후 노인의 어깨와 아래의 볏짚을 따라 시선이 이동하며 부드럽게 처리된 인민군들에게로 향한다. 몰골법으로 우려낸 인민군들의 분위기는 안개가 자욱하게 낀 배경과 결합되어 화면의 통일성과 더불어 서정적인 화면을 만들어 내고 있다. 투쟁의 현장은 전투적이어야 한다는 관념적 과격성에 머무르지 않고 조선화의 특징을 잘 살려 서정적으로 표현해냄으로써 북한 미술계의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이러한 정서적 공감은 노를 젓고 있는 할아버지와 같은 각도로 휘어져 있는 갈대의 날카롭고 날렵한 긴장감으로 마무리 짓고 있다. 이 작품에서는 대상들의 형태를 선으로 묘사하고 색채 명암을 배합하여, 인물의 외모뿐 아니라 그 내면세계를 효과적으로 그려내었다. 또한 공기원근법을 사용하여 비바람 휘몰아치는 거친 강변에서 벌어지는 사건의 극적 상황과 긴장한 분위기를 예술적으로 형상화해내었다. 여백을 이용한 공간감의 구성, 인물들의 섬세한 심리 묘사, 강조된 색채와 묘사의 밀도, 대조되는 필맛의 효과가 특징적이다. 1966년 ‘제9차 국가미술전람회’에서 1등을 수상하였다.
관련어
리창
,
몰골법
,
국가미술전람회
동의어
낙동강 할아버지
,
낙동강의 할아버지
,
락동강의 할아버지
관련자료(북)
리재현, 『조선력대미술가편람』, 평양: 문학예술종합출판사, 1999.
백과사전출판사 편, 『광명백과사전 6 : 문학예술』, 평양: 백과사전출판사, 2008.
사회과학원 편, 『문학예술대사전(DVD)』, 평양: 사회과학원, 2006.
참고자료
백과사전출판사 편, 『광명백과사전 6 : 문학예술』, 평양: 백과사전출판사,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