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주대식 [Chu Taesik]

상세 정보 표
분야 인물별체계관리 > 미술 > 작가 > 회화 > 조선보석화
9분류 인물
집필자 박계리
출생일1958년 6월 25일
사망일미상
출생지황해남도 연안군 연안읍
정의
주대식은 조선화와 조석보석화를 제작하는 화가이다.
내용
1982년 평양미술대학 조선화 학부를 졸업하였다. 이후 만수대창작사의 조선화창작단, 조선보석화창작단에서 활동해 오고 있다.
조선보석화는 북한의 미술 장르 중 하나로서 색을 가진 천연 돌가루를 안료로 사용하여 미술작품의 한시성을 극복하고 영구히 보전하도록 한 미술장르이다. 조선보석화는 북한 미술계에서 회화가 창작 당시의 생동감을 잃고 색이 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불변하는 색 안료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연구를 통해 얻은 성과라고 할 수 있다. 사실주의를 추구하는 북한 미술의 숙련된 기술이 부각되며 골뱅이화, 검은 돌조각과 함께 북한의 독창적인 미술장르로 손꼽힌다. 천연돌가루는 색이 매우 다양하고 천, 화포지, 알루미늄 등 바탕재료에 큰 제약이 없는 점을 들어 창작활동에 적합한 재료이다. 또한 그 성질로 하여금 일기 조건, 시간에 관계없이 영구한 색채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해주었으며 이로 인해 조선보석화는 자연 환경 및 계절의 영향을 받지 않고 야외·실내에 모두 전시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있다.
주대식의 작품은 조선화 <위훈의 소식>(1984), <북부철길 건설장>(1984), 조선보석화 <공작새>(1990), <고양이들>(1990), <보통강의 학>(1991), <꿩>(1991), <새색시>(1994), <바이올린수>(1996), <강아지들>(1998) 등이다. 이 중 조선보석화 <꿩>은 산골짜기의 잔디밭에서 노니는 한 쌍의 꿩을 주제로 하여 꿩의 깃털 질감, 색깔, 문양을 생동감 넘치게 표현한 작품으로, 조선보석화의 성과작으로 손꼽히고 있다. 1996년 공훈예술가의 칭호를 수여받았다.
주대식은 조선보석화가로 회화적 구상력과 섬세한 묘사력을 지녔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관련어 평양미술대학, 만수대창작사, 조선보석화, 공훈예술가
관련자료(북) 리재현, 『조선력대미술가편람』, 평양: 문학예술종합출판사, 1999.
백과사전출판사 편, 『광명백과사전 6 : 문학예술』, 평양: 백과사전출판사, 2008.
참고자료 리재현, 『조선력대미술가편람』, 평양: 문학예술종합출판사, 1999.
백과사전출판사 편, 『광명백과사전 6 : 문학예술』, 평양: 백과사전출판사,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