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통일문학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매체 > 계간 > 문학
9분류 매체
집필자 임옥규
시기1989년
제작자평양출판사
정의
『통일문학』은 북한에서 1989년에 창간되었으며 남북한과 해외동포의 문학작품을 게재하는 계간지다.
정의
『통일문학』은 북한에서 1989년에 창간되었으며 남북한과 해외동포의 문학작품을 게재하는 계간지다.
내용
『통일문학』은 1989년부터 북한에서 발행되는 계간지로 남북한과 해외의 작품을 공동으로 싣는 문학잡지의 형식으로 출발하였다. 이 잡지에는 김정일의 명언과 주체문학론에 대한 소개도 있지만 주로 북한, 남한, 해외 동포의 문학 작품을 게재한다. 북한 문학으로는 시, 소설, 문학이론, 평론, 수필 및 통일 단상, 사화전설 등이 남한 문학 작품으로는 김훈, 김남주, 박경리, 신경림, 안도현 임철우 등의 시 소설 평론 등이 게재되며 해외동포 작품으로는 주로 재중동포, 재일동포, 재캐나다 작가의 작품이 게재된다. 이외에 민속놀이 소개, 해방 이전 작가 소개, 통일문학 소식란 등이 구성되어 있다.
2001년 평양에서 개최된 8.15 민족통일대축전‘ 때에는 『통일문학』편집장 장혜명과 작가 리호근, 림영실이 남북 문인들과 공동 시낭송회를 갖기도 하였다.
이 잡지는 2008년에 발행된 남북한 합작 첫 문예잡지 『통일문학』과 제명이 같지만 편집방식에 있어 ‘6.15민족문학협회’가 낸 남북한 합작 문예지인 『통일문학』이 남북한 작가의 합의에 의해 작품을 게재한 것에 비해 북한이 임의적으로 남한 작가들의 작품을 선별하여 게재하고 있다는 차이점이 있다. 또한 북한에서는 남북한 합작 『통일문학』이 1989년 6월부터 북한에서 발간되어온 문학잡지 『통일문학』을 6.15시대에 맞게 확대 발전시킨 남과 북 해외문인들의 공동잡지라고 소개하고 있으나 6.15 문학인 남측 협회는 남북 합작의 창간호일 뿐이라고 설명한다.
『통일문학』은 북한에서 남한의 작품과 해외동포의 작품을 비중 있게 소개한 문예잡지라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내용
『통일문학』은 1989년부터 북한에서 발행되는 계간지로 남북한과 해외의 작품을 공동으로 싣는 문학잡지의 형식으로 출발하였다. 이 잡지에는 김정일의 명언과 주체문학론에 대한 소개도 있지만 주로 북한, 남한, 해외동포의 문학 작품을 게재한다. 북한 문학으로는 시, 소설, 문학이론, 평론, 수필 및 통일 단상, 사화전설 등이 남한 문학 작품으로는 김훈, 김남주, 박경리, 신경림, 안도현, 임철우 등의 시, 소설, 평론 등이 게재되며 해외동포 작품으로는 주로 재중동포, 재일동포, 재캐나다 작가의 작품이 게재된다. 이외에 민속놀이 소개, 해방 이전 작가 소개, 통일문학 소식란 등이 구성되어 있다.
2001년 평양에서 개최된 8.15 민족통일대축전때에는 『통일문학』편집장 장혜명과 작가 리호근, 림영실이 남북 문인들과 공동 시낭송회를 갖기도 하였다.
이 잡지는 2008년에 발행된 남북한 합작 첫 문예잡지 『통일문학』과 제명이 같지만 편집방식에 있어 6.15민족문학협회가 낸 남북한 합작 문예지인 『통일문학』이 남북한 작가의 합의에 의해 작품을 게재한 것에 비해 북한이 임의적으로 남한 작가들의 작품을 선별하여 게재하고 있다는 차이점이 있다. 또한 북한에서는 남북한 합작 『통일문학』이 1989년 6월부터 북한에서 발간되어온 문학잡지 『통일문학』을 6.15시대에 맞게 확대 발전시킨 남과 북 해외문인들의 공동잡지라고 소개하고 있으나 6.15문학인남측협회는 남북 합작의 창간호일 뿐이라고 설명한다.
『통일문학』은 북한에서 남한의 작품과 해외동포의 작품을 비중 있게 소개한 문예잡지라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관련어 『통일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