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가극혁명 [revolution in the production of opera]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공연 > 종합공연 > 가극
9분류 개념
집필자 전영선
시기1970년대
정의
1970년대 초반 김정일의 주도로 진행된 가극분야의 새로운 형식에 의한 창작과정으로, 북한에서는 가극혁명을 종래 가극의 틀을 ‘마스고(부수고)’ 새로운 가극창작 원칙과 방식이 구현된 “주체의 가극예술”을 창조하기 위한 ‘투쟁’으로 규정한다.
내용
가극혁명은 북한식 공연예술의 전형을 마련하는 과정을 의미하며, 김정일의 주도로 항일무장투쟁 시기에 창작된 ‘불후의 고전적 명작’ <피바다>를 새로운 형식의 가극으로 재창작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졌다. 김정일은 가극 <피바다>를 새로운 형식의 가극으로 창작할 것을 지시하였다. 이렇게 창작된 가극 <피바다>에 시대의 요구를 반영하고, “당성, 로동계급성, 인민성의 원칙, 집체성의 원칙”을 ‘확고히’ 견지한 새로운 형식의 가극이 만들어졌다고 평가하였다. 또한 김정일은 “우리는 혁명가극 <피바다>를 창작하여 공연함으로써 지난날의 가극과 근본적으로 다른 새로운 가극 <피바다>식 가극이 태어났다는 것을 세상에 선포하였습니다”라고 선언하였다. 이후 혁명가극 <피바다>의 창작 방식을 모범으로 혁명가극 <꽃파는 처녀>, <밀림아 이야기하라>, <당의 참된 딸>, <금강산의 노래> 등의 가극이 작품이 만들어지면서, <피바다>식 혁명가극이 자리잡게 된다.
관련어 혁명가극, 방창, 흐름식입체무대미술
관련연구(남) 천현식, 「북한 가극의 특성과 변화: 혁명가극에서 민족가극으로」, 박사학위논문, 북한대학원대학교, 2012.
민병욱·구명옥, 『북한 경희극』, 서울: 연극과인간, 2002.
서연호·이강렬, 『북한의 공연예술Ⅰ』, 서울: 고려원, 1990.
한국비평문학회, 『북한 가극, 연극 40년: 5대 성과작을 중심으로』, 서울: 신원문화사, 1990.
박영정, 『북한 연극/희곡의 분석과 전망』, 서울: 연극과 인간, 2007.
관련자료(북) 최석, 『5대 혁명가극 노래집 』, 평양: 문학예술출판사, 2008.
최경수·김용세, 『가극과 연극감상』, 평양: 문예출판사, 1983.
『혁명가극선곡집』, 평양: 문예출판사, 1973.
참고자료 민병욱·구명옥, 『북한 경희극』, 서울: 연극과인간, 2002.
서연호·이강렬, 『북한의 공연예술|』, 서울: 고려원, 1990.
전영선, 『북한을 움직이는 문학예술인들』, 서울: 역락, 2004.
전영선, 『북한의 문학과 예술』, 서울: 역락,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