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경가극 [light opera]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공연 > 종합공연 > 가극
9분류 개념
집필자 오양열
정의
간단한 극적 이야기를 경쾌한 음악형상을 통하여 보여주는 작은 형식의 가극이다.
내용
흔히 단막극적인 구성 형식을 취하며 장면 설정과 무대 갖춤새가 간단하고 등장인물 수가 적은 것이 특징이다. 경가극의 주된 표현수단은 노래지만 등장 인물들의 말과 동작도 많이 이용되며 필요한 경우에는 춤도 끼운다. 반주는 비교적 간단히 구성된 경음악단이 담당한다.
경가극은 보통 12막으로 구성되며, 생활의 어느 일정한 측면을 집중적으로 반영하므로 적은 수의 인원과 작은 규모의 관현악단, 그리고 간편한 무대조건에서도 상연할 수 있다. 경쾌한 음악과 노래, 주인공들의 흥미진진한 극적 행동과 짧으면서도 재치 있는 대사 등 다양한 표현수단들을 통하여 생활을 기동성 있게 반영한다.
북한에서 경가극은 현실생활을 밝고 경쾌한 음악형상으로 기동성 있게 반영할 수 있는 예술 종류의 하나로서 다른 소품 형식들과 함께 소편대 공연 종목으로 편성되는 경우가 많다.
『문학예술사전』(1972)는 “오늘 경가극은 현실생활을 제때에 반영하여 근로자들을 당 정책 관철에로 고무추동 하는 기동성 있는 무대예술의 하나로서 중앙과 지방의 극장에서는 물론, 공장, 농촌 등의 예술소조들에서도 널리 리용되고 있다.” 고 설명한다.
한편 남한에서 경가극(輕歌劇)이라고 하면 오페레타(operetta)를 말하며, 희가극(喜歌劇)이라고도 한다. 오페라에 비해 작은 규모의 작품으로 풍자적인 대사와 통속적인 노래, 왈츠·폴카·캉캉 등의 춤 등이 섞인 오락성이 풍부한 음악극이다.
관련어 혁명가극, <피바다>식 혁명가극
대응어 오페레타, 희가극
동의어 경악극
참고자료 사회과학원 문학연구소 편, 『문학예술사전』,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72.
사회과학원 편, 『문학예술대사전(DVD)』, 평양: 사회과학원, 2006.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편, 『문학예술사전 상』, 평양: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