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연구(남) |
선안나, 「1950년대 북한 아동문학의 현황⑴: 서정 및 서사 장르를 중심으로」, 『동화와 번역』, 15권, 2008. 원종찬, 『북한의 아동문학:주체문학에 이르는 도정』, 서울: 청동거울, 2012. 이영미, 「1950년대 북한 아동문학교양장 연구」, 한국언어문학회, 『한국언어문학』, 제66집, 2008. 이영미, 「1960년대 전반기 북한 문학교육교양 매체『아동문학』의 주제적 경향」, 『한민족문화연구』, 제33집, 2010. 이재철, 『남북아동문학연구』, 서울: 박이정, 2007. 최진이, 「북한의 아동문학」, 국학자료원, 『북한 문학의 이해』, 2002. |
관련자료(북) |
「『아동문학』제1집 편집 후기에서」, 『아동문학』, 7호, 1957. 강효순, 「『아동문학』 창간 열 돌을 맞으며」, 『문학신문』, 1957년 7월 18일. 박세영, 「『아동문학』창간 당시의 회상」, 『아동문학』, 7호, 1957. 송창일, 「『아동문학』열 돌 맞이에」, 『아동문학』, 7호, 1957. 이진화, 「『아동문학』이 걸어온 길」, 『아동문학』, 7호, 1962. |
참고자료 |
백과사전출판사, 『조선대백과사전 26』, 평양: 백과사전출판사, 2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