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아동문학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매체 > 월간 > 문학
9분류 매체
집필자 임옥규
시기1947년 7월 ~ 현재
제작자조선작가동맹 중앙위원회
정의
『아동문학』은 1947년 7월에 창간되어 현재까지 간행되는 북한 아동문학을 대표하는 잡지로 인민학교 어린이와 고등중학교 학생들을 독자 대상으로 하여 이들을 정서적, 정치 사상적으로 교양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용례/관용구
잡지 《아동문학》은 주체적인 문예사상과 독창적인 문예리론에 기초하여 작가, 문학통신원, 학생소년들이 창작한 여러가지 문학작품들을 편집함으로써 자라나는 새 세대들을 정치사상적으로, 문화정서적으로 교양하며 그들을 주체혁명위업의 믿음직한 계승자로 튼튼히 준비시키는데 이바지하는 것을 기본사명으로 하고 있다. 잡지는 작가, 학생소년들, 문학통신원들을 독자대상으로 하고 있다. 잡지 500호 발행에 즈음하여 주체88(1999)년 6월 15일에 국기훈장 제1급을 받았다. 『조선대백과사전(26)』, 2001.
내용
『아동문학』은 북한 아동문학을 대표하는 잡지로 인민학교 어린이와 고등중학교 학생들을 독자 대상으로 한다. 『아동문학』의 내용은 ‘동요(동요, 유희동요, 구전동요), 동시, 시, 서사시, 서정서사시, 련시, 동화시, 가사, 동화, 소년소설, 소설, 우화, 이야기, 옛이야기, 력사소설, 번역, 동극, 희곡, 만화 영화 씨나리오, 오체르크, 기행문, 방문기, 수필, 전설, 평론, 권두언, 정론, 회상기, 학생작품, 독자 발언’ 등의 장르와 분야로 구성되며 이는 시대별로 변모된다.
『아동문학』은 기성 작가들과 문학통신원들, 학생들의 창작을 싣고 있으며 북한의 다른 일반 문학처럼 김일성의 교시와 문예정책에 의해 기본 방향이 설정되고 이를 구체적으로 적용한다.
『아동문학』은 1947년 7월에 북조선문학동맹 아동문학전문분과 기관지로 창간되어 6.25 전쟁까지 분기 간으로 14집까지 나왔으며 1954년부터는 작가동맹 기관지로서 체계를 갖추고 월간 잡지로 전환되었다. 『아동문학』 1947년도 1집은 아동문화사에서, 1948년도 2집은 문화전선사에서, 1951년 이후에는 문학예술사에서, 1952년 이후에는 문예총출판사에서, 1953년 이후에는 작가동맹출판사에서, 1951년 8월 이후에는 조선문학예술총동맹출판사에서 발행되다가 1968년 4월부터 중단되었다. 1970년 4월부터 문예출판사에서 다시 발간되고 1992년 이후에는 문학예술종합출판사에서 발간되고 2000년대 이후에는 문학예술출판사에서 발간되고 있다.
북한에서는 『아동문학』이 어린 학생들의 연령과 심리에 맞게 여러 가지 종류의 글들을 다양한 형식으로 흥미있게 편집함으로써 독자들 속에서 인기를 끌고 있으며 학생들의 혁명 교양과 정서교양에 크게 이바지하고 있다고 평가한다. 남한에서는 남북한 아동문학의 연속성 문제를 타진할 수 있는 일환으로 북한의『아동문학』 잡지가 차지하는 위상에 중요한 의의를 둔다.
관련연구(남) 선안나, 「1950년대 북한 아동문학의 현황⑴: 서정 및 서사 장르를 중심으로」, 『동화와 번역』, 15권, 2008.
원종찬, 『북한의 아동문학:주체문학에 이르는 도정』, 서울: 청동거울, 2012.
이영미, 「1950년대 북한 아동문학교양장 연구」, 한국언어문학회, 『한국언어문학』, 제66집, 2008.
이영미, 「1960년대 전반기 북한 문학교육교양 매체『아동문학』의 주제적 경향」, 『한민족문화연구』, 제33집, 2010.
이재철, 『남북아동문학연구』, 서울: 박이정, 2007.
최진이, 「북한의 아동문학」, 국학자료원, 『북한 문학의 이해』, 2002.
관련자료(북) 「『아동문학』제1집 편집 후기에서」, 『아동문학』, 7호, 1957.
강효순, 「『아동문학』 창간 열 돌을 맞으며」, 『문학신문』, 1957년 7월 18일.
박세영, 「『아동문학』창간 당시의 회상」, 『아동문학』, 7호, 1957.
송창일, 「『아동문학』열 돌 맞이에」, 『아동문학』, 7호, 1957.
이진화, 「『아동문학』이 걸어온 길」, 『아동문학』, 7호, 1962.
참고자료 백과사전출판사, 『조선대백과사전 26』, 평양: 백과사전출판사,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