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생명수 [Life-giving Water]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문학 > 소설 > 장편소설
9분류 작품
집필자 박태상
시기1978년
제작자변희근
정의
<생명수>는 1989년 김일성상 계관인인 변희근이 지은 작품이다. 어지돈 관개공사를 다룬 <생명수>는 북한의 문학사나 주체문예이론서에서 주체사상을 형상화한 바람직한 작품의 사례로 자주 등장하고 있는 작품이다.
용례/관용구
장편소설 『생명수』에는 당시의 심각한 계급투쟁과 오랜 인텔리를 쟁취하는 문제를 비롯하여 여러 가지 문제들이 아주 잘 반영되였다고 교시했다. 최길상, 『주체문학의 새 경지』, 1991.
내용
북한에서 <생명수>가 높은 평가를 받은 이유는 6.25 전쟁이 끝난 후 폐허상태의 북한을 새롭게 재건하기 위해서는 사회주의 건설을 촉진시키기 위한 혁명적 군중동원이 필요했는데, 이 작품이 군중노선에 의한 사회주의 건설의 성공적 사례를 사실적으로 묘사하고 있기 때문이다.
6.25 전쟁의 정전 후 인민 경제의 전후 복구를 배경으로 한 사회주의적 사실주의 작품이다. 북한당국이 1954년 3개년 경제계획을 수립한 후 1957년부터 다시 5개년 계획을 추진하여 전쟁으로 인해 폐허가 된 국토의 재건 사업과 경제체제의 구축에 몰두하게 되고 인민들의 동참이 절실하게 되는 시기를 배경으로 작품은 시작되어 숨은 영웅을 찾기 위한 내용의 소설이다.
작품은 어지돈 관개공사를 소재로 하여 봉산벌 사람들의 생활에 근본적 전환을 가져다 준 김일성의 인민 사랑과 고매한 덕성을 혁명적 수령관의 입장에서 다루고 있다. <생명수>는 작업반장 박대성을 비롯하여 곽동수, 남성우 등 청년연공작업반원들과 기사 문석빈, 봉산벌 농민 정순갑 노인과 봉숙이, 개인 이기주의자 송병무와 그의 딸 선희, 부기사장 황종구 그리고 간첩 암해분자 장억내 등 다양한 계층의 인물들을 당의 계급 노선과 군중노선에 의거하여 생동하게 형상하였다는 점에서 주체문예이론서들은 높은 평가를 주고 있다.
<생명수>에서 김일성은 억새골에 나가서 저수지 자리와 언제자리도 잡아주고 나라의 형편이 아무리 어려워도 봉산벌 농민들에게 더는 물고생을 시킬 수 없다고 하면서 황금으로 언제를 쌓는 한이 있어도 평남관개공사가 끝나면 어지돈 관개공사를 하겠다고 다짐한다. 김일성의 원대한 구상을 실현하기 위해 전쟁 시기 백송보의 양수기를 지키다가 희생된 덕삼의 아들 박대성을 비롯한 관개 건설자들이 평남관개공사를 끝낸 후 공사장으로 달려온다.
특이하게 변희근의 <생명수>에서는 ‘적대적 갈등’이 전면에 부상한다. 그러한 적대세력으로 장억대가 등장한다. 장억대는 어지돈 종합관개사업소의 부기사장 황종구와 함께 일하는 작업 지도원으로 설정된다. 하지만 작품에서 장억대는 계급상으로도 지주의 아들이므로 부르주아지로 묘사되며, 해방 후와 전쟁 중에는 미국의 첩보장교 제임스의 지령을 받는 스파이로 그려지는 인물이다. 장억대는 자신의 신분을 속이고 해방 전후의 혼돈기에 돈이 최고라는 체험을 바탕으로 부업에 몰두하는 노련한 목공 송명부에게 접근하여 탈법적인 행위를 방조하여 그를 자신의 우군으로 삼는다. 결국 관개공사의 속도를 앞당기는 데 결정적인 7톤 기중기의 쇠와이어를 밤에 몰래 절단하여 기중기가 붕괴하도록 유도하거나 기계실의 기계를 조립하는 데 중요한 부품인 암나사꿰미를 훔쳐 산속에 묻어버리기까지 한다.
이 무렵 또다시 건설장을 찾은 김일성이 여러 가지 문제를 빠짐없이 풀어주며 건설자들에게 믿음과 은정을 베풀어준다. 김일성의 현지교시 관철에 앞장서 나선 대성이네들은 함종구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자신들이 창안한 7t짜리 삭도기중기로 집채 같은 기중기를 운반 조립하여 언제 공사를 성공적으로 진척시킨다. 이 투쟁 속에서 황종구는 자기 잘못을 뉘우치며 장억대는 자신의 죄과가 적발되어 인민의 준엄한 심판을 받는다. 드디어 어지돈 관계 1계단 공사가 끝나 모내기철전으로 봉산벌에 사랑의 생명수가 흘러들어온다는 내용이다.
관련어 변희근
관련연구(남) 박태상, 「북한소설 ‘생명수’에 나타난 북한 농촌의 수리화 사업」, 『북한의 문화와 예술』, 서울:깊은샘, 2004.
관련자료(북) 변희근, 『생명수』, 평양: 문예출판사, 1978.

이미지

생명수

이미지명 : 생명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