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개마고원 [Kaema Heights]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문학 > 소설 > 장편소설
9분류 작품
집필자 오태호
시기1956
제작자황건
정의
<개마고원>은 해방 후 ‘평화적 건설 시기’와 ‘조국해방전쟁’의 영웅적 현실을 시대 배경으로 하여 농촌에서 벌어진 치열한 계급투쟁과 새 생활창조를 위한 인민들의 투쟁을 폭넓게 형상한 작품이다.
용례/관용구
소설에서는 북방의 산간지대 농민들의 생활풍습, 세태풍습을 선명하게 그려내고 이 지대의 특유한 자연풍경과 기후풍토를 생동한 화폭으로 보여주었다. 『문학예술대사전』 DVD, 2006.
내용
<개마고원>은 해방 직전인 1945년 6월 하순에서 시작하여 6.25전쟁 직후까지의 시기를 다루고 있다. 전체 총 50장으로 구성된 작품은 1부(1~28장)에서 1945년 6월~1950년 6월 전쟁 직전까지, 2부(29~50장)에서 전쟁 개시 이후인 1950년 6월~1951년 5월까지의 내용이 다루어진다. <개마공원>의 서사를 장악하는 것은 지식인 청년으로 나오는 김경석이다. 일제강점기에 징병으로 끌려갔던 그가 탈출한 뒤에 고모집에 숨어 지내다가 집으로 돌아오는 것에서 소설은 시작된다. 그리고 작품 마무리에서는 군당 선전일꾼인 안계숙과의 결혼식을 전쟁 중인 1951년 5월에 치르는 것으로 종결된다.
북한에서는 이 작품이 일제의 패망을 앞둔 해방 직전의 조선 인민의 암담한 비극적 처지로부터 시작하여 해방, 지방 정권기관의 수립, 토지개혁, 조국해방전쟁 개시와 일시적 후퇴 등 모든 중요한 역사적 사변들에 대한 연대기적 묘사를 통하여 농촌 청년들의 투쟁 화폭과 그들의 낙관주의적 성격의 발전을 일반화하였다고 평가한다. 특히 애정 관계에 있는 경석과 순희와의 상호 관계에서 그들의 사회계급적 처지와 입장을 명확히 밝혔으며, 내면세계의 미묘한 움직임까지 포착하여 심각한 계급투쟁 속에서 성장하는 주인공의 성격을 생동한 형상적 화폭으로 보여주었다고 주목한다. 또한 북방의 산간지대 농민들의 생활풍습, 세태풍습을 선명하게 그려내어 자연풍경과 기후풍토를 생동한 화폭으로 형상화하였다고 평가된다.
남한에서는 이 작품이 당대의 문제적 개인인 지식인 청년의 유약한 내면과 각성된 사회주의자로서의 신념, 개마고원의 자연 풍경을 당대 현실과의 조화 속에 매끄럽게 그려낸 소설이라고 평가한다. 특히 1967년 ‘주체사상의 공식화’ 이후 북한 사회가 유일 체계로 경직되기 이전에 쓰여진 소설이기에, 인물의 내면 형상화를 검토했을 때 김일성의 가계 형상 중심의 ‘항일혁명문학’이 보여주는 도식성과 획일성 등에서 일정 정도 벗어나 상대적 자율성을 획득한 작품으로 파악된다.
관련어 황건
관련연구(남) 김승종, 「황건의 『개마고원』론」, 한국문학연구회 편, 『1950년대 남북한 문학』, 서울:평민사, 1991.
오태호, 「『개마고원』에 나타난 인물형상의 유연성과 경직성 연구」, 『비교문화연구』, 13권 2호, 2009.
오창은, 「1950년대 북한 소설의 서사적 이면들-황건의 『개마고원』론」, 『한국근대문학연구』, 19집, 2009.
관련자료(북)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편, 『문학예술사전 상』, 평양: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88.
사회과학원 편, 『문학예술대사전(DVD)』, 평양: 사회과학원, 2006.

이미지

개마고원

이미지명 : 개마고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