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림화 [Rim Hwa]

상세 정보 표
분야 인물별체계관리 > 문학 > 시인
9분류 인물
집필자 오태호
출생일1908년 10월 13일
사망일1953년 8월 6일
출생지서울 동대문구 낙산
정의
림화는 시인이자 문학평론가이다. 1926년 카프에 가입한 이래 서기장 등의 중추적 역할을 하였고 『개설 신문학사』를 통해 체계적인 방법론을 갖춘 근대문학사를 시도하였다. <우리 오빠와 화로>, <네 거리의 순이> 등의 시를 발표하였고 『문학의 논리』라는 평론집을 저술하였다.
내용
시인이자 평론가인 림화는 본명이 임인식(林仁植)으로, 1921년 13세에 보성중학에 입학한다. 이상, 이헌구 등이 보성중학 동기생들이며, 1925년 졸업 직전에 학교를 중퇴한다. 1926년부터 시와 평론을 발표하였으며, 영화와 연극에도 가담한다. 1928년 박영희를 만나, 윤기정 등과 가까이 지내며 카프에 가담한다. 1929년 <우리 옵바와 화로>, <네거리의 순이> 등을 발표하며 대표적인 프로 시인으로 거론된다. 이 작품들은 다소 서정적으로 자신의 치열한 감성을 표현한 시들로서, 카프 내부의 강경 이론분자로 등장하기 전의 림화에 해당한다.
이후 1930년 박영희의 후원으로 동경으로 건너가 ‘무산자사’에서 활동하면서 극단 ‘신건설’을 조직하였다. 1931년 귀국과 동시에 카프 제1차 검거에 직면하고, 카프 내부에서 볼셰비키화라는 강경노선의 중심에 선 핵심적 이론분자로 두각을 나타내면서 조직을 장악해 나가기 시작했다. 1932년 4월 윤기정의 후임으로 카프 서기장이 되고, 기관지 『집단』의 책임 편집자로 활동한다. 1933년 김남천과의 ‘물 논쟁’은 시인이자 이론가인 림화를 당대의 탁월한 비평가로 재인식시켰다. 카프 해산 이후 신병인 폐결핵 치료를 위하여 요양생활을 하면서, 리복만의 누이이자 첫 아내인 리귀례와 헤어지고 일본 소화여학교 출신 리현욱(필명 지하련)과 재혼(1935)한다.
이후 <다시 네거리에서>(1935), <현해탄>(1936), <바다의 찬가>(1937) 등의 시작품을 발표하고 「조선신문학사론서설」(1935), 「조선신문학사」(1940), 「신문학사의 방법론」(1940) 등의 문학사에 관련된 글을 집필하면서, 근대문학의 ‘이식문학론’적 관점을 드러낸다.
해방 직후인 1945년 8월 17일 서울에서 조선문학건설본부를 조직하고 서기장에 오른다. 박헌영이 이끄는 남로당의 노선을 추종했는데 그것은 한설야, 한효 중심의 당파성과 구분되는 인민성 개념에 놓여 있다. 1946년 2월에는 조선문학가동맹 중앙집행위원에 선임되었으나, 1947년 11월 김남천과 함께 월북하여 황해도 해주를 본거지로 남로당의 문화사업을 담당했다. 전쟁 이전까지 조소문화협회 중앙위 부위원장으로 일했다.
1950년 전쟁이 개시되자 평양의 중심 문단으로 진출한 그는 전선에 종군하여 작품을 썼다. <서울>, 딸 혜란에게 보내는 형식의 <너 어느 곳에 있느냐>, <바람이여 전하라, 흰눈을 붉게 물들인 나의 피 위에> 등의 시를 이 시기에 썼다. 이 작품들은 종전 이후 전사들을 모욕했다는 이유로 숙청의 빌미를 제공하였다.
림화의 최후는 한국 현대사의 비극을 고스란히 담고 있는 상징적인 것이다. 김일성을 추종하는 북로당과의 권력투쟁은 결과적으로 김일성의 권력 장악으로 마무리된다. 그리하여 김일성의 지령하에 북한 정권의 최고재판소 군사재판부에서 남로당 계열의 숙청으로 전개되었다. 휴전 직후인 1953년 8월, 군사재판에 회부되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권 전복 음모와 반국가적 간첩 테로 및 선전선동 행위에 대한 사건’에서 ‘미제 간첩’이라는 죄목으로 박헌영, 이승엽 등의 정치인, 이원조, 설정식 등의 문인들과 함께 사형을 선고받고 처형당했다.
작품집으로는 『현해탄』(1938), 『찬가』(1947), 『회상시집』(1947), 『너 어느 곳에 있느냐?』(1951) 등이 있다. 평론집으로는 『문학의 논리』(1940)가 있으며, 편저로는 『현대조선시인선집』(1939)이 있다. 문학사를 표방한 소책자 『조선문학』(1952)도 냈다. 생전에 80편에 가까운 시와 200편이 넘는 평론을 쓴 것으로 집계되고 있으며, 한국 현대시사와 비평사, 현대문학연구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관련어 조선문학가동맹
동의어 임화, 林和, 임인식, 林仁植
관련연구(남) 이명재 편, 『북한문학사전』, 서울: 국학자료원, 1995.
권영민, 『한국현대문학대사전』,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4.
참고자료 김윤식, 『임화연구』, 서울: 문학사상사, 1989.
임화문학예술편찬위원회 편, 『임화전집 1~5』, 서울: 소명출판, 2009.

이미지

림화

이미지명 : 림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