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검색 결과 바로가기
HOME > 디렉토리 서비스 > 가나다색인
이전 다음 A+ A- 인쇄

도끼장군 [General Axe]

상세 정보 표
분야 장르별체계관리 > 문학 > 아동문학 > 동화
9분류 작품
집필자 이영미
시기1954년
제작자리원우
정의
<도끼장군>은 1954년에 창작 출판된 리원우의 중편동화이다.
용례/관용구
<도끼장군>은 임진조국전쟁시기 우리 인민이 발휘한 애국주의정신과 영웅적 투쟁을 동화적 형상으로 그려낸 작품이다. 『문학예술대사전』 DVD, 2006.
내용
리원우의 <도끼장군>은 임진왜란 시기 평양 부근에서 23세의 농민 일꾼총각이 주인공으로 등장하여 신의 계시와 같은 전설적 부름에 응하게 되고, 외세의 침략에 대항하여 싸우면서 자신의 불멸의 기능, 즉 ‘부활’의 능력과 ‘영생’의 힘을 확인하게 되는 과정을 그린 작품이다. 주인공은 이 과정에서 만물의 기이한 지원을 받는 특징이 있는데, 이러한 동화적 환상은 임진왜란 때의 일본의 침략을 식민지기 일제의 강점과 6.25전쟁 시의 미군과의 접전까지로 확대하여 이러한 외세에 대해 타파의지를 드러내려는 형상화기법으로, 주체적 선민의식을 상징한다고 할 수 있다. 이 작품이 전하고자 하는 최종적 의미는 전설 속 평양 출신 도끼장군이 부활한 분신(分身)들과 함께 통일하는 조국에 대한 것이다. 역사적으로 외세에 의해 지속적으로 침략을 받아 생긴 트라우마를 치유하려는 상징들로 가득 차 있는 이 <도끼장군>은 이후 북한의 교육교양장에서 적극 활용됨으로써 전쟁에 대한 증오의 감정을 지속시켰고, 사회주의적 애국주의가 외세배격론, 조국통일론과 긴밀하게 맞물려 돌아간 북한 체제 특성의 사상문화적 기원이 되었다.
관련어 리원우
관련연구(남) 이영미, 「리원우의 <도끼장군>에 대한 연구」, 『국제한인문학연구』, 12호, 2013.
관련자료(북) 리원우, <도끼장군>, 『보물고간』, 평양: 금성청년출판사, 1986.